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로 신고 된 사람은 현재까지 총 242명으로 집계됐다고 광주시가 2일 밝혔다. 광주시에 따르면 7차 보상 신청까지 가족이 행방불명으로 신청한 448건 가운데 중복된 경우 등을 분석한 결과 행불자 수가 최종적으로 242명으로 나왔고, 심사를 통해 정부가 인정한 ‘행불’ 피해자는 현재 82명이다. 그러면 나머지 160명은 어떻게 된 것일까?

광주시는 최근 광주 항쟁 당시 계엄군에 의해 살해돼 암매장된 지역으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부근 등을 발굴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가족 등이 애통해 하고 있는 이런 상황에서 광주 항쟁 당시 보안사 등이 광주 지역에서 군에 의해 살해된 민간인을 전북 전주에 있는 화장장인 ‘승화원’에서 비밀리에 화장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017년 12월 27일 오전 광주 서구 마륵동 광주천변 자전거길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사라진 사람들 행방을 찾는 암매장 의심지 발굴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5·18단체는 암매장 작업을 봤다는 시민제보가 있고, 땅속탐사레이더(GPR) 조사 때 이상 신호가 나온 이곳을 의심지역으로 지목했다(연합뉴스)

이는 당시 보안사 차량을 운전했던 한 남성이 주변에 ‘당시 시신을 차량에 싣고 전주까지 운반해 화장장에서 소각했는데 정말 끔찍했다’고 주변에 언급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이 남성은 더 이상 자세히 당시 상황을 언급치 않았는데 이는 상당히 설득력 있는 언급으로 당국 등에서의 정식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1980년 당시나 현재 전주 시 일원에는 화장장이 승화원 하나 밖에 없다. 승화원은 1977년 준공되어 화장로 5기를 갖춰 하루 화장 가능한 시신은 20여기였고 2009년 증축해 지금처럼 화장로 6기에 하루 24기 화장이 가능하다. 승화원은 당시 전주시가 관리하면서 공무원이 파견되어 근무하는 방식이었다가 2008년부터 전주시시설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승화원 주변에는 공동묘지와 공설묘지 시설이 있는데 공동묘지에는 무연고 묘가 수천 기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승화원이 광주 항쟁 당시 신군부에 의해 이용됐을 가능성이 높다. 전남 일원의 화장장은 시민들의 시선을 의식해 기피했을 것으로 보이고, 전주와 광주간 거리가 약 1 백 km 정도로 자동차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는 점, 1980년 당시 전북에서 가장 큰 화장장이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1980년 당시 인구를 보면 광주는 약 73만 명, 전주는 37만 명 정도였다.

당시 신군부가 전주 승화원 화장장을 시민군 등의 시신을 소각하는데 이용했을 가능성이나 의혹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당시 승화원에 파견되어 근무한 전주시 공무원 등의 협조를 받을 경우 그 진위 여부가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승화원을 관리하는 전주시시설관리공단은 전주시청 생활복지과가 관장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된 행불자를 찾기 위한 작업이 1980년 이후 37년 만인 지난 9월 문재인 대통령 특별 지시로 발족한 5·18진상규명을 위한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와 5·18기념재단, 5월 3단체(유족회·구속자회·구속부상자)의 주도로 진행돼, 가장 유력한 암매장지로 추정돼왔던 옛 광주교도소 인근에 대한 발굴이 시도됐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군 기록에 따르면 민간인 27∼28명이 5·18 당시 옛 광주교도소 일대에서 숨졌으며, 항쟁이 끝나고 임시 매장된 형태로 찾은 시신은 11구에 불과했다. 5월 단체는 3공수 본부대대 지휘관이 1995년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 등을 토대로 옛 광주교도소를 암매장지로 지목했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일부 극우세력들이 말도 안 되는 억지 주장을 하고 있어 그 진실과 진상규명은 어떤 형태로든 시간이 걸리더라도 꼭 밝혀져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그 진실은 군 작전에 참가했던 그리고 암매장 등에 참여했던 공수부대나 보안사 요원들이 알고 있을 것이고 간접적으로 일부 공무원도 마찬가지로 보여 이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