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외교부 산하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TF의 발표가 있었다. 그 결과는 ‘역시나’였다. 모든 언론매체가 집중할 수밖에 없었던 충격적인 사실들을 접해야만 했다. 짐작한 대로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충격이 줄어들지는 않았다. 매국적·굴욕적 한일 위안부 합의를 서두르고, 양보하고, 숨긴 것은 일본이 아닌 한국정부였다는 사실에 치를 떨게 된다.

그럴 수밖에 없다. 합의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2015년의 한일 위안부 합의는 무엇 하나 정상적인 것이 없었다. 마치 일본이 부르는 대로 받아 적은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는 일방적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우리로서는 불가역은 고사하고 단 한 줄도 합의로 인정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되는 비정상적인 합의라고 할 수밖에 없다.

외교부 장관 직속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 오태규 위원장이 2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렇듯 일본 입맛대로 꾸며진 한일 위안부 합의는 박근혜의 욕심이 만든 외교참사였고, 국가참사였다. 그러나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이토록 엉망으로 만든 주범인 박근혜, 이병기 등에게 이유를 묻지 못한 것은 한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TF의 한계이자, 아쉬움이다. 특히 반드시 이유를 물어야 할 박근혜가 이 일에 대해 입을 열 가능성은 전혀 없는 상태라는 점에서 2년 전 정부의 발표에 받아쓰기 정도에 급급했던 언론을 질책하지 않을 수 없다.

여전히 이 매국적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의 ‘왜’가 풀리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농후한데 이에 대해서 언론의 책임과 반성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의 전유물이었던 ‘유체이탈화법’은 2017년 12월 27일 모든 언론의 보도에 차용되었다. 누구도 마치 2년 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받아쓰기에 머물렀던 자신을 고백하고, 반성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다만 이례적으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앞에서 뉴스를 진행한 SBS의 경우가 조금 남달랐다. 앵커는 “2년 전 12월 28일이었습니다. SBS 뉴스는 위안부 협상 타결이 한일 관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희망 섞인 보도를 했습니다. 제대로 된 검증을 해야 할 때 한일 관계를 어떻게든 풀어야 한다는 정부 입장만을 따라갔던 보도였습니다”라고 2년 전 자신들의 보도를 솔직히 드러내며 “일본군 위안부의 삶을 견뎌내신 할머님들이 끄덕이실 수 있을 때까지 저희도 언론으로서 소임을 다 하겠습니다”라고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SBS 8 뉴스 "위안부 할머니들이 수용할 수 있을 때까지 언론 소임 다 하겠다" (보도영상 갈무리)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는 적어도 SBS의 보도가 정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제를 전함에 있어서는 매국적인 박근혜 정부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이를 무비판적으로 보도함으로써 사안의 중대성을 희석한 잘못이 분명한 언론의 비판과 반성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2년 전 언론의 자세가 지금과 같았다면 박근혜 정부로서는 이와 같은 얼토당토않은 일을 저지를 리가 없었을 것이다. 한일 위안부 합의는 언론의 무존재를 의미하는 사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한편,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TF의 발표에 대한 일본의 반응 또한 우리들의 감정을 건드렸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의 이면이 공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한일 관계 관리 불가능”이라는 말로 여전히 반성 아닌 협박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아베 역시 “합의는 1mm도 움직이지 않는다”며 강경한 자세를 보였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