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의 일기장을 본 서우가 변했다. 지금 아니면 안 될 최후의 시점을 선택했지만 서우의 연기는 7살에서 25살로 변화하는 감정의 흐름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안타까웠다. 딱히 진단이 필요할 정도는 아닐지 몰라도 지금까지 효선의 어색한 어린척 연기는 친엄마를 잃은 7살의 트라우마에 갇혀 있다는 전제가 설명해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엄마라는 무조건적인 동경이 깨지게 되면 이제 효선은 25살의 나이로 돌아와야 한다. 그래야 복수고 뭐고 가능하다.

작가가 진작부터 밝혀온 반전이라는 점에서 그 실망감은 더욱 크다. 그렇지만 서우에 대한 실망감보다 더 큰 것은 강숙이었다. 하느님, 부처님하고 맞짱을 떠서도 당당했던 강숙이 서우의 변화에 마치 대역이라도 쓰는 것처럼 어처구니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연기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강숙 능욕이라고 하고 싶을 정도로 무딘 동기 설정 때문이다.

물론 호의적으로 해석하자면 첫회로 돌아가 은조와 함께 도망치는 장면을 떠올릴 수가 있다. 억척스럽기는 세상 둘도 없는 강숙이지만 실상 못된 남자들만 만났고 그 관계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도망치는 것이었다. 그것이 악녀 강숙의 한계였다고 애써 이해해줄 수도 있다. 그렇게만 봐줄 수 있다면 효선이 준수와 노는 틈을 타서 몰래 짐을 싸서 도망치는 장면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렇지만 곧바로 이어지는 효선의 뒤뚱거리는 추적신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영화처럼 서정적이기도 했으며 동시에 코믹하기도 했다. 효선에게 벌벌 떠는 강숙의 모습에서 지금껏 유지해왔던 그녀의 카리스마는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원작처럼 구두가 벗겨졌지만 신데렐라의 그것은 아니다. 그냥 빨리 달리기 위해서 그랬어야 했고 나중에 상처나기 위해서 그랬을 뿐이다. 버스에서 내려서 또 다시 줄달음치는 강숙과 효선이 황토언덕에서 육탄전을 벌이는 장면은 달라진 그녀들의 관계에 급전의 개연성을 주기 위한 의도된 대사들을 주고받았다.

전혀 송강숙답지 않은 대사였다. 신데렐라의 계모 강숙이 약해질 수 있었던 동기는 대성의 일기였다. 또 그러는 것이 강숙 캐릭터에 대한 존중이기도 하다. 그 일기를 효선이 봤다고 하더라도 효선의 반응을 저어하는 것은 그녀답지 않다. 그런데 실제의 강숙은 효선을 두려워한다. 그다지 두려울 것 없는데 자꾸만 무섭다고 한다. 마음을 감춘 효선의 앙칼진 말투는 급박한 후반부 촬영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투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뒤쫓는 효선이나 도망쳐야 하는 강숙의 심리를 만족할 만큼 설명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버스를 따라잡기 위해 구두를 벗어던진 효선의 맨발이 눈에 걸려 효선을 업고가는 강숙의 장면은 압권의 감동이었다. 작가가 구상한 장면이었겠지만 그것을 잘 살려준 것은 아직은 유효한 연출의 능력이었다. 그냥 업고 갔으면 감동은 그리 크지 않았을 것이다.

뒷모습으로 해서 옆으로 이어지는 로우앵글이 심리적 접근을 도왔다. 그것을 통해 강숙과 효선이 주고받은 수많은 대사들이 접근하지 못한 두 여자의 실체적 감정을 더 잘 담아냈다. 효선의 강숙의 애증이 한 마디 말 없는 그 짧은 장면에서 더 절절하게 다가왔다.

그녀들의 애증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간만에 네 식구가 모두 모여 먹는 아침밥상에서 사골국에 하염없이 소금을 치는 효선은 감기몸살로 입맛을 잃었다. 그리고 친척 한의사가 다녀가고 강숙은 효선의 잠꼬대를 듣는다. "도망가지 마, 도망가면 안돼"라는 효선의 잠꼬대를 들은 강숙은 자기방으로 돌아와 대성에게 혼잣말을 한다. "정말 지독하게 벌을 주시는구랴. 당신은. 나보다 훨씬 독한 사람들이야. 당신 부녀"

늘 그렇듯이 신데렐라 언니 속 대사들은 멋지다. 구성과 전개는 가끔 졸렬의 줄타기를 하면서도 이런 식으로 대사 한 방으로 상황을 정리해버린다. 은조의 말처럼 또 딸 은조와 똑같이 천하무적 강숙도 결국 대성에게 지고 만 것이다. 강숙과 효선의 관계의 급전이 대단히 부족하고 엉성했음에도 결국 이 대사로 무마하게 됐다. 최근 들어 불만스럽긴 해도 작가의 내공은 아직도 유효하게 드라마를 지배하고 있다.

그런데 예고에 잠깐 비친 내용이라 더 봐야 알겠지만 효선의 입맛이 사라진 것이 감기몸살 때문이 아닌 듯하다. 신데렐라의 결말은 효선의 불치병에 의한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을 주는 대목이었다. 제발 그것만은 아니길 바란다. 어떻게든 잘 무마할 작가겠지만 그래도 결말에서만은 초반에 보여주었던 그 문학적 능력을 발휘해주기 바라기 때문이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