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돌림노래처럼 연예인 혹은 연예인 측근들의 관찰예능이 붐을 이루는 최근, 지난 10월 10일 첫 방송을 시작한 JTBC <내 이름을 불러줘 -한名회>의 존재는 남다르다. 신개념 소셜 라이프 클럽을 표방한 이 프로그램은 '동명이인'이라는 우리 사회 흔한 현상을 '휴먼 스토리'의 일반인 토크쇼의 소재로 끌어온다. 거기에 장성규 아나운서의 '이름의 사회학'을 곁들이며 차별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첫 회, 그 이름만으로도 존재감이 확실한 ‘김정은’부터 시작하여, 불멸의 영웅 ‘이순신’을 건너 '하늘', 그리고 이제 2017년 가장 유명해진 '김지영'으로 따로 또 같은 이들의 사연과 입담, 그리고 사회적 공감대를 열어간다.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매개가 된 김지영 씨들의 소셜 클럽

JTBC 동명이인 토크쇼 <내 이름을 불러줘- 한名회>, <82년생 김지영> 표지

4회 김지영이란 이름을 가진 출연자들 이야기에 앞서, 2017년을 달군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돌아봐야 할 듯하다. 지난 2016년 10월 민음사의 오늘의 젊은 작가 13번째 책으로 선보인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은 서른네 살 갑자기 이상증세를 보이는 김지영을 상담한 리포트를 재구성한 형식의 소설이다.

젠더적 감성에 기반한 이 소설은 태어나면서부터 김지영 씨가 '딸'이라는 이유로 가정에서 차별을 당하고, 사회에서 '여성'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결혼과 육아를 통해 정체성을 상실해 가는 과정을 ‘사실적’으로 그려낸다. 그리고 이 82년생 여성의 리포트는 발간과 동시에, 우리 사회에 여전한 '내재화되고 관습화된 성차별'의 감성을 건드리며 '우리는 모두 김지영'이라는 시대적 화두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 결과 이 시대 차별받는 여성의 상징처럼 된 <82년생 김지영>은 그 공감대를 발판으로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 발의'의 토대를 마련했다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다큐 등 여러 프로그램들이 앞 다투어 이 화제의 책을 언급하고 다룬 가운데, 이제 10월의 마지막 날 JTBC <한명회>에서 그 '김지영 '씨들을 소셜 클럽의 주인공들로 모셨다.

소설은 82년생이라는 특정 연도 출생 김지영을 다루었다. 실제 김지영의 출생 연도를 조사해 보니 1980년에 제일 많은 김지영이 출생 신고를 한 것에서 보여지듯, 김지영이란 이름은 80년대 여성의 가장 '흔한' 이름이었다. 그 '흔해서 무시 받던' 이름이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대한민국 여성의 대명사'가 되며 재조명받아 감사하다는 90년생에서 61년생까지 9명의 김지영들이 스튜디오에 모였다.

JTBC 동명이인 토크쇼 <내 이름을 불러줘- 한名회>

나이가 다르듯 세대적 현실이 다르고, S대 출신 의사, 변호사에서 웃음치료사, 아르바이트 전문가, 주부, 공백기를 가진 회사원까지 다양한 직종과 경험을 가진 9명의 여성들. 그저 아침 주부 대상 휴먼스토리 토크쇼가 될 뻔한 프로그램에 차별적 연결고리가 된 건, 바로 소설 <82년생 김지영>이다.

이 소설을 읽은 9명의 김지영들은 한목소리로 입을 모은다. 66년생의 김지영도 83년의 김지영도, 세월이 흘러도 어쩌면 이렇게 여성의 삶은 변화하지 않는가라고. 심지어 당사자들만이 아니라, MC 한혜진은 소설 속 어머니의 삶조차 자신의 어머니의 삶과 너무도 똑같다며 공감대를 넓힌다.

그리고 이 놀라움의 배경을 장성규 아나운서가 등장하여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여성의 삶'이라는 사회적 통계를 통해 설득한다. 2016년 전체 인구 중 여성 비율 49.9%, 여성의 대학 진학률 73.5%, 고용률 50.2%의 세상. 그러나 20세 이상 928만 9천 명의 여성 중 696만의 여성이 결혼, 임신, 출산, 양육 등의 이유로 경력 단절을 겪게 된 것을 통계는 보여준다. 10명 중 7명이 퇴사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들 중 15%는 경력 단절을 넘어 사회에 복귀하지만, 상당수가 그 이전에 비해 직종이나 임금에서 다운그레이드 된 상태를 겪게 된다고 수치는 증명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15조원에 이른다는 것.

이런 소통의 '페미니즘'은 어때?

JTBC 동명이인 토크쇼 <내 이름을 불러줘- 한名회>

이렇게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여성의 삶을 아홉 김지영들의 삶이 보충한다. 의사나 변호사라는 전문직이라도 결혼하면 임신과 출산을 한다는 '전제'만으로 선택 과정에서 당연한 차별을 겪게 되며 결혼조차 포기하게 만드는 현실. 그나마 첫 아이까지는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지만, 둘째 아이는 엄두도 낼 수 없는 처지로 만드는 조직.

조직만이 아니다. 출생부터 시작하여 성장 과정은 물론 이후에도 계속되는, 여성이 잘나가면 오히려 불쾌해지는 아이러니. 마치 그리스 신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처럼 ‘세상에 여성은 너무도 작아 계속 잘리는 느낌’이라고 말하는 그 '내재화되고 제도화된 차별'에 김지영씨들은 입을 모은다.

이런 김지영들의 토로와 공감은 출연한 한 명의 남자 김지영과 MC 노홍철, 그리고 출연자의 가족인 남자들의 의식변화의 출발점이 된다. 자신이 겪은 차별적 삶에 대한 해법을 '사회적 의식 변화'라고 명쾌하게 정의한 그 변화의 물꼬를 프로그램은 유도한다.

JTBC 동명이인 토크쇼 <내 이름을 불러줘- 한名회>

프로그램에 출연하기 위해 소설을 읽은 남자 김지영은 '도와준다'고 했던 가사노동에 대해 변화된 시각을 보인다. 여성에 대한 차별이 그저 옛날이야기라 여겼던 노홍철은 현실에 대한 놀라움과 자각을 솔직하게 토로한다. 차별적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비혼'을 선택했던 72년생의 변호사와, 자신의 성취를 위해 '비혼'을 희망한다는 90년의 구직자, 그리고 딸이라면 '비혼'을 권장하겠다는 현실의 막막함을 모두가 공감한다.

프로그램은 어떤 캠페인이나 구호를 앞세우지 않는다. 대신 그 한 사람, 한 사람이 소설보다 영화보다 더 치열했던 8명의 김지영을 통해 우리 시대 여성의 차별적인 삶을 이해시킨다. 왜 이 시대 여성이 존중받아야 하는지, 여성을 위한 제도와 배려들이 왜 필요한 것인지, 지난 시절의 내재화된 차별 속에서 그녀들이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통해 설득한다. 남성들의 무지와 외면 역시 노홍철과 남성 김지영 등을 통해 교감하고 소통한다. 어쩌면 그저 흔한 '휴먼스토리'일 수도 있던 토크쇼는 한 편의 소설이라는 문화적 콘텐츠의 의미와 공유, 그리고 각자의 경험의 사회화, 그리고 공감과 소통을 통해 멋들어진 '페미니즘'의 결과물에 도달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