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전혁수 기자] 박근혜 정부가 포털에 정부 인터넷 광고를 몰아줬던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이 정부 인터넷 광고를 독식하다시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중소 인터넷 매체를 지원하는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양대포털 네이버, 다음 로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더불어민주당 강창일 의원에게 제출한 '정부광고비 집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네이버, 다음 양대 포털이 정부 인터넷 광고를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버는 지난 2013년 48억 원, 2014년 52억 원, 2015년 89억 원, 2016년 92억 원, 2017년에도 8월까지 45억 원의 정부 인터넷 광고를 받았다. 다음도 2013년 40억 원, 2014년 40억 원, 2015년 47억 원, 2016년 39억 원, 2017년 들어 8월까지 20억 원의 광고를 받았다.

양대 포털의 정부 인터넷 광고비는 3위와 큰 차이를 보인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3위였던 연합뉴스의 경우 2013년 12억 원, 2014년 15억 원, 2015년 19억 원, 2016년 23억 원, 2017년 8월까지 인터넷 광고 3위인 뉴스1은 14억 원의 광고를 받았다.

정부 인터넷 광고비의 연도별 비중(1~30위까지)을 살펴보면 2013년 포털이 차지하는 비중은 41.7%(211억 원 중 88억 원)에 달했다. 2014년에는 36.9%(249억 원 중 92억 원), 2015년 43.4%(314억 원 중 136억 원), 2016년 35%(374억 원 중 131억 원)를 차지했다. 2017년 들어서도 8월까지 224억 원 중 65억 원의 정부 인터넷 광고를 받아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포털 외의 정부 인터넷 광고마저도 소위 '이름 있는' 언론사에 몰렸다.

물론 한국의 인터넷 지형이 포털을 중심으로 발달해 클릭수를 대비해보면 포털에 광고비가 몰리는 것은 당연한 현상일 수 있다. 그러나 중소 인터넷 매체 등의 진흥을 위해 정부가 대책을 세우고 광고를 나눠서 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포털에 정부 인터넷 광고가 몰린 것은 정부가 대기업에 일감을 몰아준 것이나 마찬가지"라면서 "정부는 중소기업을 잘 키워서 대기업처럼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중소규모의 인터넷 언론사들이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하는데, 박근혜 정부가 그 역할을 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 인터넷 광고비 지출 현황(단위 억 원). (자료=강창일 의원실 제공)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